[미국경제] 달러가 패권을 가질 수 있었던 이유
미국은 언제부터 패권국이 되었고, 달러는 언제부터 기축통화로 자리를 잡게 되었는지 정리를 해보려한다. 달러의 힘이 강해지기 시작한 것은 브레튼 우즈 체제로 시작된다. 브레튼 우즈 체제 2
yongrich.tistory.com
지난번 브레튼우즈 체제부터 미국 경제에 대해서 알아보고 있는데 이번에는 2008 금융위기 당시에 대해서 알아보려한다.
개인적으로 너무 재밌게 봤던 영화 '빅쇼트'를 참고하여 그 당시 상황을 다시 알아보자.

미국에서는 2008 금융위기, 혹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라고 부르는 사건이 발생한다.
우선 루이스 라니에리(Lewis Ranieri)라는 사람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자.
루이스 라니에리는 1970년대 일반 모기지을 수천개 묶어서 위험은 작으면서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채권인 MBS 채권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모기지, 즉 주택담보대출은 보통 기간이 장기이고 수익성이 적기 때문에 은행 입장에서 선호되는 상품은 아니었지만, MBS라는 상품을 만들어 은행 내 투자수단을 만들어 유동성을 공급할 수 있었다.
이 당시 미국 내 주택가격은 꾸준히 상승하는 상황이었고, 그렇기 때문에 MBS에 대한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해나갔다.
하지만 은행에서는 더 높은 수익을 얻기 위해서 모기지 대출을 늘려가고 있는 상황이었다.
WHY? 집값이 계속 상승하기 때문에 무조건 돈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신용 등급이 낮은 SUBPRIME 등급에게도 대출을 하기 시작했고 그로 인해 연체율이 높아진 상황이었다.
연체율이 높아지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3사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 S&P그리고 피치는 MBS의 등급을 강등하지 않는다.

영화 내용에서는 S&P와의 인터뷰 장면이 나온다.

S&P 관계자는 선글라스를 끼고 있으며(눈을 가리고 진실을 보려하지 않는 모습), 신용등급을 왜 내리지 않느냐? 라는 질문에 우리가 내리면 고객들은 무디스로 갈걸? 이라는 답변을 했다.
2008 금융위기 발생 이후 S&P직원은 '우리의 등급은 그저 의견일 뿐' 이라며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영화의 주인공 중 한명은 '마이클 버리'이다.
마이클 버리는 의사 출신의 투자자로서 미국 주택 시장은 망한다에 배팅을 하려고, 주택시장을 공매도 하려 시도했다.
그는 투자은행을 찾아가서 나를 위한 공매도 상품을 만들고 구매한다.
그는 골드만 삭스에 찾아가 '모기지 채권 스와프' , 즉 채권에 문제가 생겼을 때 수익이 나는 신용 부도 스와프인 CDS를 구매하고 싶다고 요청한다. 그 당시 마이클은 수많은 사람들의 질타를 받고 웃음거리가 되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미국의 부동산 시장이 무너지면서 큰 돈을 번 사람 중 한명이다.

위 그림은 미국의 주택가격지수이다. MBS가 주택 가격이 상승한다면 문제가 없었겠지만, 주택가격이 하락세로 전환함과 동시에 연체율은 급상승하고, 연체율 상승으로 인해 MBS에 투자한 사람들 모두 큰 손해를 입을 수 밖에 없었다.

그 당시 50억 달러 이상이 사라졌으며 800백명이 직장을 잃었고 600만명이 주택을 잃은 엄청나게 심각했던 사건이다.
뿐만 아니라, 이 당시에 미국의 거대 투자은행인 리만브라더스가 무너졌다.

리만 브라더스는 서브프라임 대출을 모아서 만든 CDO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었던 상황이었고, 저금리였던 당시 미국 상황을 고려했을 때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CDO 상품들이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서브프라임 사태는 리만 브라더스에게 큰 손해로 작용을 했고 결국에는 파산에 이르게 되었다.
2007년 S&P 4위에 위치할만큼 규모가 있었던 리만브라더스의 파산은 시장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 당시 미국 증시에도 큰 폭락을 가져왔으며, '리먼 사태'라고 불리고 있다.
개인적으로 경제 관련 영화를 추천해달라고 한다면, 첫번째로 '빅쇼트'를 추천할만큼 재밌게 본 영화다.
하지만 영화로만 보고 넘기기 어려웠던 점은 빅쇼트의 주인공인 마이클 버리가 최근에 다시 미국 시장에 숏을 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빅쇼트' 주인공 마이클 버리, 美 증시 하락에 2조 베팅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예측한 공매도 투자자 마이클 버리가 최근 미국 증시 하락에 2조원 넘게 베팅한 것으로 알려졌다. 16일(현지시간) 영국 더타임스와 미국 CNN 방송에 따르면 버리는 최근
n.news.naver.com
물론, 워렌버핏은 미국 경제에 대한 신뢰를 갖고 장기채를 매수하는 모습을 보여주긴 했지만, 개인적으로도 중국의 경기침체와 함께 미국의 연착륙에 대한 기대감이 조금씩 사라지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미국 내 신용등급 강등과 더불어 미국 내 몇몇 은행들의 신용등급 하락 위험 등 여러 안좋은 조짐들이 보이고있어서 주의를 기울여서 상황을 지켜봐야겠다.
'매크로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부동산 전망 (40) | 2023.09.09 |
---|---|
잭슨홀 미팅 및 미국물가지표, 일본완화정책, 중국의 경기부양책 (28) | 2023.09.03 |
[미국경제리뷰] 달러가 패권을 가질 수 있었던 이유 (18) | 2023.08.25 |
[중국경제전망] 리오프닝VS 부동산발 경기침체 (24) | 2023.08.20 |
IRA 수정안 :: 구리도 IRA의 영향권 (12) | 2023.08.10 |